지난 10월 7일 한 스리랑카인은 저유소 인근 강매 터널 공사 현장에 주저앉아 있는 풍등을 보고 호기심에 불을 붙였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사람의 소망을 하늘에 밝게 비춰주는 풍등의 아름다운 약속과 전혀 다른 상황으로 진행된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도 친 것일까. 한 아름만한 풍등으로 490만 리터 크기의 저유소가 시꺼먼 연기와 함께 불꽃에 휩싸였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주 노동자인 스리랑카인이 실화혐의로 긴급체포되었다는 기사가 포털에 올라왔다. 이 풍등이 저유소 인근 잔디밭에 떨어지며 불이 붙었고, 그 불씨가 저유탱크 증환기구를 통해 들어가며 폭발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대형화재가 일어나기까지 송유관공사는 18분간 화재를 인지하지 못했다. 그리고 휘발유 탱크 외부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도 없었다고 한다. 이번 화재가 철저히 바람의 우연에 운명이 맡겨졌다는 게 얼마나 기막힌 일인가. 우리 사회 안전망의 구멍들이 또다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서는 “오히려 스리랑카인 덕분에 허술한 저유소의 실태를 확인해 더 큰 피해를 막았다.”, “저유소 하나를 집어삼킬 만큼의 대형화재를 한 명의 외국인 노동자의 모든 책임으로 전가하는 게 맞냐.”는 여론이 들끓었다. 또 한편으로는 적당한 범위 내에서 처벌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현재 스리랑카인은 영장 기각되어 풀려난 채 불구속 상태에서 조사를 받게 되었다. 이 화재는 누구의 책임일까? 저유소 근처까지 날아간 풍등? 불씨를 옮긴 바람? 바다 건너온 스리랑카인? 18분간 화재가 방치될 수밖에 없었던 송유관공사의 시스템? 송유관공사 대표? 전날 풍등을 잘 수거하지 못했던 캠프행사 측?
안전불감증으로 이러한 비극들을 얼마나 되풀이했는지 모른다. 저유소 화재 5개월 전 송유관공사는 안전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고 한다. 풍등으로 43억 원의 손해가 날 것이라고 상상하기 매우 어려운 등급이다. 노동부의 안전보건 감시와 법적으로 안전시스템 구축에 대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또 방화의 원인을 철저히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상적 소방교육과 같은 안전교육을 기본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안전은 당장 오늘의 문제이다. 관도 민도 함께 깨어나 움직여야 한다. 지금 함께 집중해야 할 것은 오히려 어떻게 하면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가 아닐까?
지난 10월 7일 한 스리랑카인은 저유소 인근 강매 터널 공사 현장에 주저앉아 있는 풍등을 보고 호기심에 불을 붙였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사람의 소망을 하늘에 밝게 비춰주는 풍등의 아름다운 약속과 전혀 다른 상황으로 진행된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도 친 것일까. 한 아름만한 풍등으로 490만 리터 크기의 저유소가 시꺼먼 연기와 함께 불꽃에 휩싸였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주 노동자인 스리랑카인이 실화혐의로 긴급체포되었다는 기사가 포털에 올라왔다. 이 풍등이 저유소 인근 잔디밭에 떨어지며 불이 붙었고, 그 불씨가 저유탱크 증환기구를 통해 들어가며 폭발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대형화재가 일어나기까지 송유관공사는 18분간 화재를 인지하지 못했다. 그리고 휘발유 탱크 외부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도 없었다고 한다. 이번 화재가 철저히 바람의 우연에 운명이 맡겨졌다는 게 얼마나 기막힌 일인가. 우리 사회 안전망의 구멍들이 또다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서는 “오히려 스리랑카인 덕분에 허술한 저유소의 실태를 확인해 더 큰 피해를 막았다.”, “저유소 하나를 집어삼킬 만큼의 대형화재를 한 명의 외국인 노동자의 모든 책임으로 전가하는 게 맞냐.”는 여론이 들끓었다. 또 한편으로는 적당한 범위 내에서 처벌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현재 스리랑카인은 영장 기각되어 풀려난 채 불구속 상태에서 조사를 받게 되었다. 이 화재는 누구의 책임일까? 저유소 근처까지 날아간 풍등? 불씨를 옮긴 바람? 바다 건너온 스리랑카인? 18분간 화재가 방치될 수밖에 없었던 송유관공사의 시스템? 송유관공사 대표? 전날 풍등을 잘 수거하지 못했던 캠프행사 측?
안전불감증으로 이러한 비극들을 얼마나 되풀이했는지 모른다. 저유소 화재 5개월 전 송유관공사는 안전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고 한다. 풍등으로 43억 원의 손해가 날 것이라고 상상하기 매우 어려운 등급이다. 노동부의 안전보건 감시와 법적으로 안전시스템 구축에 대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또 방화의 원인을 철저히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상적 소방교육과 같은 안전교육을 기본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안전은 당장 오늘의 문제이다. 관도 민도 함께 깨어나 움직여야 한다. 지금 함께 집중해야 할 것은 오히려 어떻게 하면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가 아닐까?
2018.10.12.
우리미래 정치연구소